A purely peer-to-peer version of electronic cash would allow online payments to be sent directly from one party to another without going through a financial institution. Digitial signatuers provide part of the solution, but the main benefits are lost if a trusted third party is still required to prevent double-spending.
인터넷에서의 상거래는 거의 전적으로 전자 결제를 처리해 주는, 신뢰할 만한 제삼자 역할을 하는 금융 기관에 의존해 왔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대부분의 거래에서 잘 작동하지만, 여전히 신뢰 기반 모델이 지닌 약점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 Satoshi Nakamoto
위의 글은 지금의 암호화폐 시장을 만든 비트코인의 창시자 Satoshi Nakamoto가 쓴 Bitcoin Whitepaper의 첫 문장입니다. 그는 현재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법정 화폐를 사용하기 때문에 나온다고 합니다. 법정 화폐를 사용하면 필연적으로 돈을 관리하는 정부, 은행에 의지할 수밖에 없어 진정으로 자유로운 거래를 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가 탄생시킨 개념이 바로 신뢰(정부, 은행)에 의존하지 않는 Bitcoin을 이용한 거래 시스템입니다.
지금까지의 역사를 보면 답을 알 수 있습니다. 정부는 단 한 번도 법정 화폐 관리자의 역할을 빼앗긴 적이 없고, 만약 누가 그 지위를 탐낸다면 철저한 보복을 가했습니다. 왜냐하면 정부는 화폐를 통해 개인을 경제 시스템 속에 가두고 관리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개인이 화폐를 사용한다는 건 정부의 신뢰와 권위를 무의식 중에 인정한다는 뜻과 다를 게 없습니다.
그래서 모두 중재자가 없는 금융거래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Bitcoin이 등장하여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비트코인은 신뢰에 기반하지 않는 전자 거래 시스템을 지향합니다. 여기서의 신뢰는 앞서 이야기한 중앙기관 (정부, 은행 등)입니다. 즉 은행이 없이 거래할 수 있는 탈중앙화된 시스템이 Bitcion이라는 암호화폐의 최종 종착지인 것입니다. 그래서 그런 걸까? 비트코인은 초창기 다크웹에서 불법적인 거래를 위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다크웹에서는 마약, 무기, 불법영상, 범죄 등 구매자와 판매자가 특정되면 같이 손잡고 감방 가는 거래가 주로 이뤄지는데, 어떻게 당근마켓 마냥 계좌를 오픈할 수 있을까요? 그래서 주인을 특정할 수 없는 비트코인 지갑주소를 은행계좌 대신에 사용하게 됩니다. 비트코인은 분산화된 노드들로 검증 절차를 진행할 수 있어 서로의 지갑주소만 알면 코인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은행 없는 거래 방식입니다.
앞서 비트코인을 언급한 건 비트코인의 탈중앙화 사상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코인의 실질적인 아버지라 할 수 있는 비트코인이 "탈중앙화"를 외치는데 이에 영향을 받지 않을 암호화폐들을 거의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사용자들이 대부분 Satoshi의 사상에 동의하기 때문에 "탈중앙화"가 암호화폐의 모토인 것이죠.
중앙 컨트롤 센터가 없다는 건 자유롭다는 뜻만은 아닙니다. 정부를 예로 들어봅시다. 지금 당장 정부가 사라지면 무서운 사람들에게 돈을 뜯겼을 때 신고할 경찰이 없습니다. 결국 내가 직접 다시 돈을 뺏어와야 하는 무법지대로 변하게 될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는 경제 활동을 위한 거래 행위에 있어 정부와 은행에게 우리의 자유를 일정 부분 포기하면서 동시에 안전함과 편리함을 보장받습니다.
그래서 다들 현존하는 거의 모든 암호화폐도 100% 분산된 환경을 원하지 않습니다. 이들이 이야기하는 탈중앙화는 권력의 탈중앙화입니다. 이때, 블록체인이라는 개념을 활용해서 모두가 모두를 검증해 주는 중앙 컨트롤타워 없는 시스템을 구상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마치 예전 농촌 시대와 같다고 보면 됩니다. 그때는 동사무소에 등기를 신고하지 않아도 철수 할아버지 땅이 저쪽 산부터 이쪽 개울 까지라는 걸 마을 사람들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그러다 철수 할아버지가 땅을 영수 할어버지에게 팔면 동네 사람들 모두 바뀐 땅 주인이 영수 할아버지구나라고 인지합니다. 여기서 동사무소는 은행이고, 동네사람들은 비트코인 참여자들입니다.
마을 사람들이 모이고 모여서 동사무소 등기역할을 대신해 주는 것입니다. 등기가 없어도 우리는 잘만 살았습니다.
암호화폐도 이렇게 중앙화를 싫어하지만 중앙화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메인넷에 버그가 생기거나 생태계에 심각한 문제가 생겼을 때 이를 해결할 누군가가 필요합니다. 이걸 처음에는 비트코인의 분산 합의 프로토콜을 통해 자동으로 알아서 해결했습니다.
이게 발전하여 이더리움의 스마트 컨트렉트가 되어 중앙 주체 없는 계약 시스템이 생기고, 지금은 자율 분산형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의 개념이 탄생하였습니다. 그래서 코인을 많이 보유하거나 채굴 기여도가 높은 순위에 따라 투표권을 다르게 부여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알아야 할 것은 이 역시 탈중앙화라는 모토 아래 발전했기 때문에 이런 식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럼 탈중앙화는 또 어디에 영향을 미쳤을까요? 바로 거래소입니다.
다음번엔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다윗과 골리앗 정신이 그대로 녹아있는 곳이 바로 인터넷입니다. 예전의 리눅스와 MS, SUN부터 지금의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보면 독점의 위치를 깨고 모두에게 나눠주고 싶어 하는 건 인터넷 유저들의 본성인가 봅니다. 많은 숨은 다윗들 덕분에 지금의 우리는 이렇게 인터넷을 자유롭게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저는 인터넷 발전을 견인하고 있는 특유의 언더독 정신이 암호화폐 시장 발전의 원동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직 코인이 어떤 식으로 발전해 나갈 수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밝아 보입니다.
코인과 탈중앙화
1. 비트코인은 은행 없는 탈중앙화된 거래를 위해 만들어졌다.
2. 이후의 암호화폐도 다 비트코인처럼 탈중앙화를 외친다.
3. 탈중앙화는 원래 인터넷 유저들이 항상 꿈꾸는 미래다.
그래서 인터넷의 발전은 탈중앙화를 지향하는 암호화폐를 수면 위로 끌어올린 것이다.
코인 트렌드 2 - 비트코인(BTC) 형제들 (2) | 2023.05.15 |
---|---|
코인 트렌드 1 - 밈 (Meme Coin)이 다시 유행합니다. (4) | 2023.05.06 |
코인투자를 하면서 느낀 점 (2) | 2023.04.30 |
다시 코인 투자를 시작한 이유 (3) | 2023.04.30 |
댓글 영역